
국가바우처 국가가 복지 대상자에게 직접 현금이나 서비스, 물품을 제공하는 대신, 정해진 이용처에서 서비스 또는 물품으로 교환할 수 있는 이용권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현금이 아닌 서비스 이용권을 제공함으로, 수혜자는 꼭 필요한 도움을 제공받을 수 있고 또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용취약계층의 인력 고용에 도움이 됩니다.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에 도움이 되는 돌봄 서비스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아이 돌봄 서비스 (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 ■ 지원 대상 : 만 12세 이하 아동에 대한 돌봄이 필요한 가정. : 중위소득 150% 이하의 양육공백이 발생하는 가정( 취업한 부모, 맞벌이 가정, 다자녀가정 등) 정부 지원 : 양육 공백이 발생하는 가정 정부 미지원 : 양육 공백이 발생하지 않는 가정( 본인 ..

2024년 건강보험료 소득별 금액 이 페이지에는 2024년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표만 있습니다. 해당하는 기준에 해당 하는지 확인부탁드립니다. 기준중위소득 % 확인을 위한 표를 아래에 게시해 두었습니다. 내 가족 소득이 어느 단계에 해당 되는지 확인하시고 신청하고자 신청 하시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기준중위소득 75% 가구원수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3인 3,536,000 125,852 67,043 127,174 142,150 75,725 143,643 4인 4,298,000 153,582 105,135 155,399 173,471 118,750 175,523 5인 5,022,000 179,138 127,535 181,477 202,336 144,051 204,97..

국가바우처란? 국가가 복지 대상자에게 직접 현금이나 서비스, 물품을 제공하는 대신, 정해진 이용처에서 서비스 또는 물품으로 교환할 수 있는 이용권을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현금이 아닌 서비스 이용권을 제공함으로, 수혜자는 꼭 필요한 도움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용취약계층의 인력 고용에 도움이 됩니다. 바우처 종류 ■ 건강보험 임신 · 출산 진료비 지원 ( 2015년 5월 1일부터 시행) 지원 대상 : 임신·출산(유산 포함)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인 임신부, 2세 미만 영유아의 법정대리인 출산·유산자 추가 확대.(2017년 9월19일 부터) 지원 금액 : 임신 1회당 100만 원(다태아 임신부의 경우 140만 원)(2022년 1월1일 부터 시행) 임신 20주 이상의..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란 말 그대로 개인의 종합적 소득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1년간 경제적 활동을 하면서 발생한 소득 - 근로, 사업(부동산 임대), 연금, 이자, 배당, 기타 소득에 대한 세금으로 개인사업자나 프리랜서, 근로소득 외에 금융소득 및 기타 소득이 있는 경우, 이직으로 2군데 이상 근무하고 합산하여 연말정산을 하지 못한 직장인, 연도 중에 퇴직하며 정산을 했지만 추가로 정산할 항목이 있는 경우 라면 이 기간 내 신고를 해야 합니다. 신고 방법 5월 1일부~5월 31일까지 국세청 홈택스, 모바일 손택스, ARS 통해 간편 신고하거나 세무대리인, 주소지 관할 세무서, 지자체 신고 도움 창구를 방문하여 직접 신고·납부할 수 있습니다. 환급금이 발생했다면 6월 말 ~ 7월 말 환급되어..

고용안정과 재취업 지원 만 50세 이상 구직자를 신중년 적합직무에 고용하는 사업주에게 인건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3개월 단위초, 최대 1년간 지원합니다. 구분 연간총액 3개월 지급액 우선지원대상기업 960만원 480만원 중견기업 480만원 240만원 신중년이란? 신중년은 만 50세 이상 70세 미만인 사람을 말합니다. 적합직무 고용장려금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은 고령자 또는 준고령자를 신중년 적합직무(신중년의 특성 및 경력 등을 보았을 때, 신중년이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데 적합한 직무)에 채용하는 사업주에게 근로자 임금의 일부를 지원하는 것을 말합니다. 「고용보험법」 제20조,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17조 제1항 제7호 「고용창출장려금·고용안정장려금의 신청 및 지금에 관한 규정」 , 고용노동부 ..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에 관련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인부담금 환급금이란? 심평원이 요양기관(병원, 약국 등)에서 청구한 진료비를 심사한 후, 그 결과에 따라 법령의 기준을 초과하거나 착오로 더 받은 본인부담금을 공단이 해당 요양기관에 지급할 진료비용에서 그 금액을 공제하여 수진자에게 지급하거나, 요양기관이 속임수나 그 밖의 부당한 방법으로 요양급여비용을 받은 경우 공단이 해당 요양기관에서 과다하게 납부된 본인부담금을 징수하여 가입자 등에게 돌려드리는 제도입니다. ■ 본인부담액 상한제란? 과도하게 부과된 의료비로 인한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가입자가 부담한 연간(1.1.~12.31.) 건강보험 본인일부부담금 총액이 본인부담상한액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액을 공단에서 부담하는 제도입니다. ■ 상한제 적..

육아휴직제도, 3+3 부모육아휴직제도에 대한 설명과 신청 방법등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육아휴직 제도 육아휴직제도는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나,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가진 근로자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당연한 권리입니다.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나,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가진 근로자가 자녀 양육을 위해 최대 1년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 육아휴직급여 육아휴직을 사용한 근로자에게 1년간 통상임금의 80%를 지원합니다. 월 상한액 150만 원, 하한액 70만 원입니다. ※ 통상임금 : 근로의 대가로 정기적 · 일률적으로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등의 금액을 말합니다.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제1항) 3+3 부모육아휴직제도 생후 12개월 이내 자녀..

출산 전후휴가 (유산휴가, 사산휴가)대상 및 신청 방법 관련 내용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산전후휴가급여란? 출산 전후휴가는 임신 / 출산 등으로 인하여 소모된 체력을 회복시키기 위해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임신 중의 여성에 대하여는 춘산 전과 출산 후를 통하여 90일( 다태아일 경우 120일)의 출산 전후휴가르르 주되, 휴가기간의 배정은 출산 후에 45일이 ( 다태아 일 경우 60일) 이상이 확보되도록 부여되어야 합니다. ( 근로기준법 제74조) 출산한 여성근로자의 근로 의무를 면제하고 임금상실 없이 휴식을 보장받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이용가능 기간은? 임신 중의 여성에게 출산 전과 출산 후를 통하여 90일 ( 다태아 일 경우 120일)의 출산전후휴가를 주어야 하며, 이 경우 휴가 기간의 배정..
- Total
- Today
- Yesterday
- 적합직무
- N잡러 소득
- 2024출산전후휴가
- 연말정산 누락
- 23년 하반기 교통비정산
- 영아종일제신청
- 4월 건보료 연말정산
- 만 13~23세 청소년 헤택
- 연말정산
- 교통카드 수정가능 기간
- 23년 하반기 교통비 소급
- 예비엄마
- 국가 바우처 사업
- 기준중위소득 판정표
- 소득판정기준표
- 직장인 소득
- 영유아 대상
- 2024년 소득판정기준표
- 연말정산기간 지남
- 여성 청소년 지원
- 심리법칙
- 2024년 건강보험료
- 국가바우처
- 질병간병아동
- 종합소득세 신고 시간
- 기저귀 조제분유지원
- 다자녀 아이돌봄 신청
- 아이돌봄 대상
- 고용노동부
- 밸런타인데이(Valentine Da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